전국 여성 스타트업 생태계를 기반으로하는 부산에서 행정안전부, 중소벤처기업부, 부산시 및 민간 전문가가 지난 19일 부산 기슬보증기금 본사에 모였다.
이 행사는 사단법인 여성스타트업 포럼(이하 여성스타트업 포럼)이 개최하고 행정안전부, 기술보증기금이 협력하고 중소벤처기업부, 부산시, 민간 액셀러레이터 등이 참가하여 여성 창업 생태계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해 숙의에 참여했다.
본 포럼은 행정안전부 주민참여협업과 박진석 과장과 기술보증기금 이은일 이사의 이사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전영미 대표의 발제가 이어졌고, 모더레이터로 나선 여성스타트업 포럼 이정희 의장의 진행으로 열띤 토론과 숙의가 이루어졌다.
발제에 나선 중소벤처기업부 유제환 사무관은 여성기업의 강점 분야 분석과 신기술 도입을 위한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송용준 센터장과 STEPI 김영환 연구위원은 우수사례 분석을 통해 여성기업의 재무적 안정성과 효과성의 강점을 강조했다. 부산의 여성기업인 에핀 전영미 대표는 10년 차를 맞이하는데 정부지원의 효과와 초기 사업단계에서의 교육과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했다.
토론에서는 에핀의 전영미 대표는 미국의 중등 교육과정 사례를 들며 한국의 교육과정에 '기업가정신'의 편성을 강조했고, 부산시 황남연 창업벤처담당관은 부산시에 여성창업 관련 지원과 정책이 뚜렷하게 마련되어 있지 않은 이유로 부산시 특화산업분야와 여성의 강점 산업분야와의 차이를 꼽았으며, 향후 예비 창업자 육성을 위한 대학 연합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여성 특화 트랙 신설의 가능성을 언급했다. 나눔엔젤스 최예은 상무는 여성투자 심사역과 여성을 위한 펀드 확장 필요성을 강조했고, 실패박람회 사업을 주관하는 행정안전부 김혜정 사무관은 여성의 사회 진출에 있어 다양한 실패와 시도가 중요하며 본 포럼을 통해 여성 기업가의 사례 공유와 함께 지역적 확산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했다.
이번 포럼에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한 만큼 다양한 제언들이 제시되었고, '여성 창업지원사업의종류 및 한계점', '여성기업가의 사회 참여를 위한 도전의 필요성과 성장을 위한 지원 필요성'에 대하여 토론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전국 여성 스타트업 생태계를 기반으로하는 부산에서 행정안전부, 중소벤처기업부, 부산시 및 민간 전문가가 지난 19일 부산 기슬보증기금 본사에 모였다.
이 행사는 사단법인 여성스타트업 포럼(이하 여성스타트업 포럼)이 개최하고 행정안전부, 기술보증기금이 협력하고 중소벤처기업부, 부산시, 민간 액셀러레이터 등이 참가하여 여성 창업 생태계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해 숙의에 참여했다.
본 포럼은 행정안전부 주민참여협업과 박진석 과장과 기술보증기금 이은일 이사의 이사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전영미 대표의 발제가 이어졌고, 모더레이터로 나선 여성스타트업 포럼 이정희 의장의 진행으로 열띤 토론과 숙의가 이루어졌다.
발제에 나선 중소벤처기업부 유제환 사무관은 여성기업의 강점 분야 분석과 신기술 도입을 위한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송용준 센터장과 STEPI 김영환 연구위원은 우수사례 분석을 통해 여성기업의 재무적 안정성과 효과성의 강점을 강조했다. 부산의 여성기업인 에핀 전영미 대표는 10년 차를 맞이하는데 정부지원의 효과와 초기 사업단계에서의 교육과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했다.
토론에서는 에핀의 전영미 대표는 미국의 중등 교육과정 사례를 들며 한국의 교육과정에 '기업가정신'의 편성을 강조했고, 부산시 황남연 창업벤처담당관은 부산시에 여성창업 관련 지원과 정책이 뚜렷하게 마련되어 있지 않은 이유로 부산시 특화산업분야와 여성의 강점 산업분야와의 차이를 꼽았으며, 향후 예비 창업자 육성을 위한 대학 연합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여성 특화 트랙 신설의 가능성을 언급했다. 나눔엔젤스 최예은 상무는 여성투자 심사역과 여성을 위한 펀드 확장 필요성을 강조했고, 실패박람회 사업을 주관하는 행정안전부 김혜정 사무관은 여성의 사회 진출에 있어 다양한 실패와 시도가 중요하며 본 포럼을 통해 여성 기업가의 사례 공유와 함께 지역적 확산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했다.
이번 포럼에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한 만큼 다양한 제언들이 제시되었고, '여성 창업지원사업의종류 및 한계점', '여성기업가의 사회 참여를 위한 도전의 필요성과 성장을 위한 지원 필요성'에 대하여 토론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